국보창경궁 명정전

테이블 캡션
지정종목 국보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지정(등록일) 1985.01.08
수량/면적 1동
지정면적 1,677.7
보호구역
통합 분류 궁궐
건립연대/시대 조선 광해군 8년(1616)
소유자(소유단체) 국유
관리자(관리단체) 국가유산청 창경궁관리소

국가유산 설명

명정전은 창경궁의 정전으로 신하들이 임금에게 새해 인사를 드리거나 국가의 큰 행사를 치루던 장소로 사용하였으며, 외국 사신을 맞이하던 장소로도 이용하였다. 조선 성종 15년(1484)에 지었는데,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광해군 8년(1616)에 다시 지었다.

앞면 5칸·옆면 3칸 규모의 1층 건물로, 경복궁의 근정전과 창덕궁의 인정전이 2층 규모로 거대하게 지어진 것에 비해 궁궐의 정전으로서는 작은 규모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며,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기둥 위의 장식적인 짜임은 그 짜임새가 매우 견실하며, 그 형태가 힘차고 균형이 잡혀 있어 조선 전기의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내부 바닥에는 벽돌을 깔았고 왕이 앉는 의자 뒤로 해와 달, 5개의 봉우리가 그려진 일월오악도 병풍을 설치하였다. 건물 계단 앞에는 신하들의 신분을 나타내는 24개의 품계석이 놓여 있다.

명정전 남측의 문정전과 주변 행각은 1983년부터 3년간에 걸친 복원공사로 대부분 복원하였고, 일제 때 격하되었던 창경원의 명칭을 창경궁으로 환원하였다. 창경궁의 명정전은 임진왜란 이후에 다시 지은 건물이지만, 조선 전기 건축 양식의 특징을 잘 계승하고 있는 건물로 건축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상세정보

상세정보: 건물명, 평면(형태, 규모), 지붕(형태, 처마), 구조(공포, 가구), 단청형식에 대한 표입니다.
건물명 평면 지붕 구조 단청형식
형태 규모 형태 처마 공포 가구
명정전 ㅡ자형
정면: 5
측면: 3
팔작 겹처마 다포 1고주7량 모로

연혁

연혁: 구분, 내용, 첨부파일에 대한 표입니다.
구분 내용 비고
1484 (조선 성종15) 창경궁 명정전 창건
1615 (조선 광해군8) 창경궁 중건
1616 (조선 광해군9) 명정전 재건
1652 (조선 효종3) 명정전 보수공사
1909 (조선 순종3) 동물원 식물원 설치
1983 궁궐 복원사업
1985 국보 제226호 지정
2007 문화재 조사서
2015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현상변경 허용기준
2008 문화재청고시제2008-105호

부속기록물 국보 보물 건조물 국가유산에 부착된 현판, 주련, 비문, 기타 기록물

창경궁 명정전 - 평면도
창경궁 명정전
부속기록물: NO, 명칭, 규격(mm)(가로, 세로), 테두리, 바탕색, 글자색, 문양에 대한 표입니다.
명칭 규격(mm) 테두리 바탕색 글자색 문양
가로 세로
현판(S01) 2,842 (2,010) (1,849) 1,328 (858) (644) 흑색 백색 화문

사업 이력(총 8 건)

사업 이력: 사업유형, 사업명, 연도, 구분, 부서, 상세보기에 대한 표입니다.
사업유형 사업명 연도 사업주체 사업수행 상세보기
DB 구축 한국건축조사보고(1904) 1904 동경제국대학 세키노 타다시(關野貞) 보기
DB 구축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10(1930) 1930 조선총독부 세키노 타다시(關野貞), 다니이 사이이치(谷井濟一), 구리야마 슌이치(栗山俊一) 보기
DB 구축 경기지방의 명승사적(1937) 1937 조선지방행정학회(朝鮮地方行政學會) 조선지방행정학회(朝鮮地方行政學會) 보기
DB 구축 문화재대관 (국보편·건조물) 2001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보기
DB 구축 2015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 DB구축 사업 2015 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 주식회사 식스시그마디비 보기
조사연구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국보·보물 4 전북·전남·광주 2018 국립문화재연구소 안전방재연구실 국립문화재연구소 안전방재연구실 보기
조사연구 국보·보물 건조물문화재 관련기록물 종합 조사·연구용역 2019 문화재청 명지대학교 한국건축문화연구소 보기
DB 구축 2021년 문화유산 원형기록 통합DB 구축 2021 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 엔디에스 컨소시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