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

테이블 캡션
지정종목 보물
소재지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지정(등록일) 2013.07.16
수량/면적 1기
지정면적
보호구역 1,966,080
통합 분류 비 /신도비(神道碑)
건립연대/시대 1409년(태종 9년)
소유자(소유단체) 국유
관리자(관리단체) 국가유산청 조선왕릉관리소 동부지구관리소

국가유산 설명

‘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九里太祖健元陵神道碑)’는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太祖 李成桂, 재세 1335~1408, 재위 1392~1398)의 건국 과정을 비롯하여 생애와 업적 등을 기리기 위해 일대기를 새겨 넣은 비석이다. 이 신도비는 1409년(태종 9)에 세운 것으로 비신(碑身) 및 귀부(龜趺)∙이수(螭首)가 잘 보존되어 있어 조선 초기 신도비 연구에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신도비의 비문은 권근(權近, 재세 1352~1409)이 짓고, 음기(陰記)는 변계량(卞季良, 재세 1369~1430)이 지었으며, 전액(篆額, 전서체로 쓴 머리글자)은 정구(鄭矩, 재세 1350~1418)가 쓰고, 글씨는 성석린(成石璘, 재세 1338~1423)이 썼다.

건원릉의 신도비는 조선 건국 후 고려시대 석비 조형을 탈피하고 명나라의 석비 전통을 받아들여 세운 새로운 형식의 신도비로 평가된다. 비록 비좌 부분이 새로 제작되었지만, 조선시대 석비의 기준작이 되며, 비신에 새겨진 글씨와 내용은 서예사를 비롯한 역사·문화사의 연구 자료로 활용 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상세정보

상세정보: 건물명, 평면(형태, 규모), 지붕(형태, 처마), 구조(공포, 가구), 단청형식에 대한 표입니다.
건물명 유형 재질 크기 형태
전 신도비 석비 화강암, 대리암 높이 : 4480

연혁

연혁: 구분, 내용, 첨부파일에 대한 표입니다.
구분 내용 비고
1409 (조선 태종9) 신도비 건립
2013 보물 제1803호 지정

사업 이력(총 4 건)

사업 이력: 사업유형, 사업명, 연도, 구분, 부서, 상세보기에 대한 표입니다.
사업유형 사업명 연도 사업주체 사업수행 상세보기
DB 구축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11(1931) 1931 조선총독부 세키노 타다시(關野貞), 다니이 사이이치(谷井濟一), 구리야마 슌이치(栗山俊一) 보기
DB 구축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13(1933) 1933 조선총독부 세키노 타다시(關野貞), 다니이 사이이치(谷井濟一), 구리야마 슌이치(栗山俊一) 보기
조사연구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국보·보물 4 전북·전남·광주 2018 국립문화재연구소 안전방재연구실 국립문화재연구소 안전방재연구실 보기
DB 구축 2021년 문화유산 원형기록 통합DB 구축 2021 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 엔디에스 컨소시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