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

테이블 캡션
지정종목 보물
소재지 충남 부여군 부여읍
지정(등록일) 1963.01.21
수량/면적 1기
지정면적 1.8
보호구역
통합 분류 비 /사적비(史蹟碑)
건립연대/시대 신라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유
관리자(관리단체) 국립부여박물관

국가유산 설명

당나라 장수 유인원(劉仁願)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碑)이다. 부소산에 세 조각으로 깨진 채 흩어져 있던 것을, 그 자리에 비각을 세워 복원해두었다가 해방 후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옮겨 놓았다. 비는 비몸돌의 앞면이 조금 깨어져 나갔고, 머릿돌도 부분적으로 깨어져 있으며, 비문은 몸돌 앞·뒷면에 새겨져 있으나 심하게 닳아 있어서 알아보기가 힘들다.

비몸돌과 머릿돌은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는데, 머리부분은 각이 없이 둥글다. 특히 머릿돌은 여섯 마리의 용조각이 매우 사실적인데, 좌우 양 쪽에서 세 마리씩의 용이 올라가 서로의 몸을 휘감고 중앙에 있는 여의주를 서로 다투고 있다. 이는 당나라 전기의 화려한 수법을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비문은 유인원의 가문과 생애 두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그의 생애에 대한 부분은 주로 그가 당나라 태종에 의해 발탁된 이후의 활동상을 적고 있다. 그는 645년 당 태종이 고구려를 공격할 때 뛰어난 공을 세웠으며, 660년에 소정방과 더불어 백제를 공격하여 멸망시킨 뒤 백제유민들의 부흥운동도 평정하였다. 그 이후의 행적은 비문이 지워져 더 이상 알 수 없다.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에서는 이 비문을 유인원이 썼다고 하고 있으나, 이 설은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비가 세워진 시기는 통일신라 문무왕 3년(663)으로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에 비문을 새긴지 3년 후이다. 비록 당나라 장수의 공적비이기는 하지만 비문 중에 의자왕과 태자 및 신하 700여 명이 당나라로 압송되었던 사실과 부흥운동의 중요내용, 폐허가 된 도성의 모습 등이 기록되어 있어 당시의 상황을 아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상세정보

상세정보: 건물명, 평면(형태, 규모), 지붕(형태, 처마), 구조(공포, 가구), 단청형식에 대한 표입니다.
건물명 유형 재질 크기 형태
기공비 석비 편마암 세로 : 310 높이 : 3350

연혁

연혁: 구분, 내용, 첨부파일에 대한 표입니다.
구분 내용 비고
663 (신라 문무왕 3) 당 유인원 기공비 건립
1963 보물 제21호 지정
1978 당 유인원 기공비 이전 및 보호각 신축
2003 당 유인원 기공비 진단조사
2010 당 유인원 기공비 정기조사
2008 문화재 현황측량 결과서
2008 문화재청고시제2008-108호

사업 이력(총 8 건)

사업 이력: 사업유형, 사업명, 연도, 구분, 부서, 상세보기에 대한 표입니다.
사업유형 사업명 연도 사업주체 사업수행 상세보기
DB 구축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4(1916) 1916 조선총독부 세키노 타다시(關野貞), 다니이 사이이치(谷井濟一), 구리야마 슌이치(栗山俊一) 보기
DB 구축 문화재대관 보물편(중) 1969 문화재관리국 문화재과 문화재관리국 문화재과 보기
DB 구축 문화재대관 보물편(석조2 개정판) 2005 문화재청 건조물과 문화재청 건조물과 보기
DB 구축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 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 주식회사 피씨엔 보기
조사연구 국보·보물 건조물문화재 관련기록물 종합 조사·연구용역 2019 문화재청 명지대학교 한국건축문화연구소 보기
DB 구축 2021년 문화유산 원형기록 통합DB 구축 2021 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 엔디에스 컨소시엄 보기
DB 구축 2022년 문화유산 원형기록 통합DB 구축 2022 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 엔디에스 컨소시엄 보기
DB 구축 2023년 국가유산 원형기록 통합DB 구축 사업 2023 문화재청 디지털문화유산팀 엔디에스 컨소시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