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부여 석조
지정종목 | 보물 |
---|---|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
지정(등록일) | 1963.01.21 |
수량/면적 | 1기 |
지정면적 | |
보호구역 | |
통합 분류 | 석조(石槽) |
건립연대/시대 | 백제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국립부여박물관 |
국가유산 설명
부여현의 동헌건물 앞에 있었던 것을 일제시대에 옛 박물관 뜰로 옮겼다가 현재의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부여석조는 왕궁에서 연꽃을 심어 그 꽃을 즐겼다는 전설이 있는 백제시대의 유물로, ‘工’자형의 받침대 위에 둥근 꽃망울 형태로 올려져 있다. 받침대는 아무런 장식이 없는 간결한 모양이다. 그 위에 놓인 석조는 입구가 약간 오므라들면서 밖으로 둥글게 원호를 그리며, 바닥은 평평한 듯 하나 완만한 곡선이다. 표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8개의 세로줄이 새겨져 있고,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의 1층 탑몸돌에 새겨진 당나라가 백제를 평정했다는 내용과 같은 글을 새기려던 흔적이 보인다.
이 석조에는 연꽃무늬 장식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사찰과 관계된 유물은 아닌 것으로 보이며, 본래 이 석조가 있었던 장소가 백제시대의 왕궁터로 전해지고 있어 당시 왕궁에서 쓰이던 석련지(石蓮池)가 아니었나 짐작된다. 형태가 풍만하면서도 깔끔한 곡선으로 처리된 석조로, 백제인의 간결하고 소박한 미적 감각이 잘 나타나 있다.
상세정보
건물명 | 유형 | 재질 | 크기 | 형태 |
---|---|---|---|---|
석조 | 석조 | 화강암 | 높이 : 1570 |
연혁
구분 | 내용 | 비고 |
---|---|---|
백제 | 석조 건립 | |
일제강점기 | 박물관 뜰로 옮김 | |
1963 | 보물 제194호 지정 | |
2003 | 석조 진단조사 | |
2010 | 석조 정기조사 | |
현재 | 국립부여박물관 보관 |
사업 이력(총 7 건)
사업유형 | 사업명 | 연도 | 사업주체 | 사업수행 | 상세보기 |
---|---|---|---|---|---|
DB 구축 | 문화재대관 보물편(중) | 1969 | 문화재관리국 문화재과 | 문화재관리국 문화재과 | 보기 |
DB 구축 | 문화재대관 보물편(석조2 개정판) | 2005 | 문화재청 건조물과 | 문화재청 건조물과 | 보기 |
DB 구축 |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 2016 | 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 | 주식회사 피씨엔 | 보기 |
조사연구 |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국보·보물 4 전북·전남·광주 | 2018 | 국립문화재연구소 안전방재연구실 | 국립문화재연구소 안전방재연구실 | 보기 |
DB 구축 | 2021년 문화유산 원형기록 통합DB 구축 | 2021 | 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 | 엔디에스 컨소시엄 | 보기 |
DB 구축 | 2022년 문화유산 원형기록 통합DB 구축 | 2022 | 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 | 엔디에스 컨소시엄 | 보기 |
DB 구축 | 2023년 국가유산 원형기록 통합DB 구축 사업 | 2023 | 문화재청 디지털문화유산팀 | 엔디에스 컨소시엄 |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