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테이블 캡션
지정종목 보물
소재지 경북 청도군 운문면
지정(등록일) 1985.01.08
수량/면적 1동
지정면적 446.5
보호구역 17,832.8
통합 분류 사찰
건립연대/시대 조선시대 17세기
소유자(소유단체) 운문사
관리자(관리단체) 운문사

국가유산 설명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은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사에 있는 조선시대 사찰건물이다.

운문사(雲門寺)는 신라 진흥왕 때 이름 모를 신승이 3년간 수도하며 깨달아 창건한 5갑사 중 대작갑사로서, 이후 600년에 원광(圓光)국사에 의해 중건되었으며 935년 보양(寶壤)국사에 의해 중창이 이루어졌다. 「운문사사적기」에 따르면 3차 중창은 1105년(고려 숙종 10) 원응국사 지근(志勤)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원응국사 이후 삼국유사를 편찬한 보각국사 일연(一然, 1206~1289)이 운문사에 주석하였고, 고려 중기 중흥기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법맥이 유지됐다.

1988년 발견한 상량도리 묵서명에 의하면 대웅보전은 1653년(효종 4) 화재로 전소된 후 1655년(효종 6) 현재의 자리에 중건된 것이다. 1773년(영조 49)에 중수가 있었고, 1935년 다시 중수하였다. 1994년 신축 대웅보전을 지은 이후 현재는 비로전으로 사용중이다. 대웅보전(大雄寶殿)으로 현판을 달았으나 원래 비로자나불을 봉안하였기 때문에 비로전(毘盧殿) 현판으로 바꾸어 달았다.

운문사 대웅보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 다포 5량가 구조이며,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기둥 사이의 간격을 넓게 잡아서 같은 구조의 건물보다 규모가 크며, 추녀 끝에는 활주를 세웠다. 막돌 쌓기한 기단 위에 장대석의 갑석으로 마무리하였다. 기둥에는 민흘림을 두었고, 귀솟음과 안쏠림이 있다. 가구는 1고주 5량으로 후불벽을 설치한 2개의 고주와 앞쪽 평주에 대들보를 걸고, 포대공을 얹어서 마루보를 받게 하였으며, 위쪽에는 귀틀을 짜서 우물천장을 마련하였다. 내부는 우물마루, 중앙은 불단을 조성하여 청정법신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두었다. 후불탱화는 비로자나불, 노사나불, 석가모니불 등 삼신불을 배치하였다.

공포는 외 3출목, 내 4출목의 다포계 양식이다. 내‧외부 모두 살미의 형태가 첨차와 같이 끝을 직절한 교두형으로 조성하였다. 공포는 이 시기 팔공산 및 대구 인근 지역의 지역적 특성으로 생각된다. 주간포는 정면과 배면 정칸 4구, 협칸 3구씩이고, 측면은 정칸 3구, 협칸 2구씩으로 주간이 넓은 만큼 주간포의 수가 많다. 정면 창호는 모두 꽃살창호인데 맞은편 승방의 꽃살 창호와 함께 매우 아름답다. 바닥은 우물마루, 천장은 우물천장인데 상단과 하단으로 층급을 두고 빗반자를 두었다. 단청은 대량에 쓰인 고리휘와 모란머리초로 대표되는 17세기 경상지역의 전형적인 문양으로 장엄하였다. 내부 공포 이하로는 1940년대에 개채한 단청이 남아있으며, 외부는 근래에 고색으로 개채하였다.

운문사 대웅보전에는 3개의 현판과 4개의 주련이 있다.‘毘盧殿(비로전)’이라는 현판이 중앙에 걸려 있는데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전각’을 가리킨다. 내부에는 1940년에 쓴 ‘운문사 대웅보전 단청기’가 걸려 있다. 정면 기둥에 걸린 주련에는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중에서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과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에 대한 야부도천(冶父道川, 생몰년 미상, 송대 임제종 선사)의 게송이 새겨져 있다.

상세정보

상세정보: 건물명, 평면(형태, 규모), 지붕(형태, 처마), 구조(공포, 가구), 단청형식에 대한 표입니다.
건물명 평면 지붕 구조 단청형식
형태 규모 형태 처마 공포 가구
대웅보전 ㅡ자형
정면: 3
측면: 3
팔작 겹처마 다포 1고주5량 금단청

연혁

연혁: 구분, 내용, 첨부파일에 대한 표입니다.
구분 내용 비고
조선 건립
일제강점기 보수
일제강점기 단청
1980 기와 공사
1985 보물 제835호 지정
2003 기단보수
2005 연목 이상 해체보수, 벽화보존처리,단청재시공
2012 흰개미 방충사업
2013 방염사업
2016 벽화모사
2008 관보제16900호(그2)

부속기록물 국보 보물 건조물 국가유산에 부착된 현판, 주련, 비문, 기타 기록물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 평면도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부속기록물: NO, 명칭, 규격(mm)(가로, 세로), 테두리, 바탕색, 글자색, 문양에 대한 표입니다.
명칭 규격(mm) 테두리 바탕색 글자색 문양
가로 세로
주련(C01) 295 2445 흑색 백색 -
주련(C02) 298 2443 흑색 백색 -
주련(C03) 292 2441 흑색 백색 -
주련(C04) 293 2445 흑색 백색 -
현판(S01) 2,400 (1,900) (1,680) 930 (695) (520) 흑색 백색 칠보문
현판(S02) 490 (460) 310 (280) 백색 흑색 -
현판(S03) 1,100 (1,020) 400 (327) 백색 확인불가 원화문

사업 이력(총 6 건)

사업 이력: 사업유형, 사업명, 연도, 구분, 부서, 상세보기에 대한 표입니다.
사업유형 사업명 연도 사업주체 사업수행 상세보기
DB 구축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12(1932) 1932 조선총독부 세키노 타다시(關野貞), 다니이 사이이치(谷井濟一), 구리야마 슌이치(栗山俊一) 보기
수리복원 1988 국가지정 목조문화재 지방자치단체 수리실측 1988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보기
DB 구축 문화재대관 보물편(목조 개정판) 2004 문화재청 건조물과 문화재청 건조물과 보기
기록보존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벽화모사사업 2016 경상북도 청도군 금오문화재보존 보기
조사연구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국보·보물) 정기조사1 서울인천경기강원 2017 국립문화재연구소 안전방재연구실 국립문화재연구소 안전방재연구실 보기
DB 구축 2022년 문화유산 원형기록 통합DB 구축 2022 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 엔디에스 컨소시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