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서울 경모궁지

테이블 캡션
지정종목 사적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28-2번지
지정(등록일) 1973.08.14
수량/면적 4144
지정면적
보호구역
통합 분류 유적건조물 /주거생활 /조경건축 /원
건립연대/시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가
관리자(관리단체) 종로구

국가유산 설명

함춘원은 조선시대의 정원으로 지금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이 위치한 곳이다.

『동국여지비고』에는 창경궁의 동쪽, 경희궁 개양문의 남쪽 등에 있는 궁궐의 정원 이름이 함춘원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그중 그 입지나 규모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은 창경궁 동쪽의 것이다.

함춘원은 성종 15년(1484)에 창경궁을 짓고, 풍수지리설에 의해 이곳에 나무를 심고 담장을 둘러 그곳에 관계없는 사람의 출입을 금하였던 것에서 시작되었으며, 성종 24년(1493)년에 정식으로 이름이 붙여져 창경궁에 딸린 정원이 되었다. 연산군 때에는 함춘원 밖의 백성들의 집을 없애고 확장하였으며, 군대를 배치하여 일반인의 통행을 금하고 대문을 만들었다. 그 후 중종은 백성들을 다시 돌아와 살게 하였다.

임진왜란 때에는 덕빈의 시신을 임시로 묻는 등 점차 관리가 소홀해졌으며, 인조 때에는 함춘원의 절반을 태복사에 나눠주었다. 이후 140여년간 말을 기르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영조 40년(1764)에는 사도세자의 사당을 이곳으로 옮겨지었고, 정조가 즉위하자 이곳을 경모궁으로 불렀으며, 정조 9년(1785)에는 이 일대를 정비하였다. 광무 3년(1899)에 경모궁에 있던 장조 즉 사도세자의 위패를 종묘로 옮기면서 경모궁은 그 기능을 잃게 되었으며, 경모궁도 경모전으로 이름을 고쳤다. 광무 4년(1900)에는 경모궁 터에 6성조 즉 태조·세조·성종·숙종·영조·순조의 초상을 모시던 영희전을 옮겨 세웠다.

그 뒤 일제가 나라를 강점한 후 경모궁 일대에 경성제국대학이 세워지면서 원래의 모습을 대부분 잃어버렸으며, 한국전쟁으로 인해 옛 건물이 불타 원래의 모습을 볼 수 없게 되었다.

함춘원은 조선 후기의 세련된 건물 중 하나이며, 현재 남아있는 유적은 함춘문 뿐이다.

※(함춘원지 → 서울 경모궁지)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 (2011.07.28 고시)

연혁

연혁: 구분, 내용, 첨부파일에 대한 표입니다.
구분 내용 비고
1776 (조선 정조 즉위년) 조선시대의 정원인 함춘원이었던 곳으로 영조 40년(1764)사도세자의 사당을 이곳으로 옮겼으며, 이후 정조가 즉위하자 이곳을 경모궁으로 불렀음
1785 (조선 정조 9년) 경모궁 일대 정비
1899 (광무 3년) 장조의 위패가 종묘로 옮겨지면서 경모궁은 기능을 잃게 됨
1900 (광무 4년) 경모궁 터에 6성조 즉 태조·세조·성종·숙종·영조·순조의 초상을 모시던 영희전을 옮겨 세움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이 세워지면서 원래의 모습을 잃음
1950 한국전쟁으로 옛 건물 소실
1973 사적 제237호로 지정
1982 월대(기단) 상부 정비
1984 함춘문 지붕 번와, 합춘문 단청 및 벽체 보수
1997 함춘원문 보수(연목이상 해체 보수), 보호책 보수
2011 문화재명 변경(함춘원지→서울 경모궁)
2011 함춘원지 추가발굴
2012 종합정비계획 수립
2014 배수시설 및 경사면 정비
2017 유적 기단석 등 정비
2020 건물지 주변 정비

사업 이력(총 3 건)

사업 이력: 사업유형, 사업명, 연도, 구분, 부서, 상세보기에 대한 표입니다.
사업유형 사업명 연도 사업주체 사업수행 상세보기
기타 1976년 문화재대관 사적편(하) 1976 문화재관리국 문화재관리국 보기
조사연구 2017년 사적정기조사 2017 문화재청 보존정책과 사단법인 우리문화유산연구원 보기
조사연구 2020년 사적정기조사 2020 문화재청 보존정책과 사단법인 호연건축문화유산연구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