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서울 석촌동 고분군
| 지정종목 | 사적 |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송파구 석촌동 61-6번지 |
| 지정(등록일) | 1975.05.27 |
| 수량/면적 | 49827 |
| 지정면적 | |
| 보호구역 | |
| 통합 분류 | 유적건조물 /무덤 /왕실무덤 /고대 |
| 건립연대/시대 | 백제시대 초기 |
| 소유자(소유단체) | 서울특별시 |
| 관리자(관리단체) | 송파구 |
국가유산 설명
석촌동 무덤들은 백제 초기에 만들어진 무덤으로서 일제시대 때 처음 조사되었다. 1호, 2호 무덤은 주민들이 농사짓는 땅으로 이용해서 내부구조와 유물은 정확히 알 수 없었으며, 3호 무덤은 기원전·후부터 나타나는 고구려 무덤 형식인 기단식돌무지무덤(기단식적석총)이다.
무덤은 높은 지형을 평평하게 하고 밑 테두리에는 매우 크고 긴 돌을 두르고 자연석으로 층단을 이루면서 쌓아올려 3단으로 되었는데, 옛 고구려 지역인 만주 통구에 있는 장군총보다 큰 것임이 밝혀졌다. 5호 무덤은 조사가 완전하게 되지 않아 구조와 유물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 수 없으며, 무덤 주변에는 무덤을 두르고 있는 돌을 2단으로 쌓았다. 내부구조에 대해서 확실히 알 수는 없고, 이 지역 지배계층의 무덤으로서 주변에 만들어진 무덤의 주인보다는 낮은 계층의 사람들 같고, 독무덤(옹관묘)이나 작은 돌방무덤(석실묘)에 묻힌 사람들 보다는 조금 높은 신분계층의 사람들의 무덤으로 볼 수 있다.
이 무덤들은 가락동·방이동 무덤과 함께 초기 백제의 문화와 역사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은 '서울 석촌동 고분군'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 (2011.07.28 고시)
연혁
| 구분 | 내용 | 비고 |
|---|---|---|
| 백제시대 | 백제 초기에 만들어진 무덤 | |
| 1984 | 발굴조사 | |
| 1983~1984 | 3호분 주변 정비, 4호, 5호구 복원 보수 | |
| 1984~1985 | 3호 고분 1단 쌓기 중 일부 | |
| 1985~1986 | 3호고분 1단(105㎥) 및 2,3단 쌓기 1,471㎥ | |
| 2000~2001 | 2, 3, 4호분 보수 | |
| 2011 | 문화재명 변경(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서울 석촌동 고분군) | |
| 2014 | 고분 석축 정비 | |
| 2015 | 4호분 정밀계측 | |
| 2019 | 관리소 및 배수로 정비 |
사업 이력(총 6 건)
| 사업유형 | 사업명 | 연도 | 사업주체 | 사업수행 | 상세보기 |
|---|---|---|---|---|---|
| 기타 | 1991년 문화재대관 사적편(증보) | 1991 | 문화재관리국 기념물과 | 문화재관리국 기념물과 | 보기 |
| 조사연구 | 2017년 사적정기조사 | 2017 | 문화재청 보존정책과 | 사단법인 우리문화유산연구원 | 보기 |
| 조사연구 | 2020년 사적정기조사 | 2020 | 문화재청 보존정책과 | 사단법인 호연건축문화유산연구원 | 보기 |
| DB 구축 | 2021년 문화유산 원형기록 통합DB 구축 | 2021 | 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 | 엔디에스 컨소시엄 | 보기 |
| DB 구축 | 2022년 문화유산 원형기록 통합DB 구축 | 2022 | 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 | 엔디에스 컨소시엄 | 보기 |
| DB 구축 | 2023년 국가유산 원형기록 통합DB 구축 사업 | 2023 | 문화재청 디지털문화유산팀 | 엔디에스 컨소시엄 | 보기 |